전체 글

코딩 블로그 입니다.
운영체제/Linux

Raspberry Pi 에 Raspbian OS 설치하기 ( GUI )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을 설치하기위해선 라즈베리파이본체, Micro SD카드, SD카드리더기가필요합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전용 터치 디스플레이와 케이스를 장착해놓은 상태입니다.) 1. SD카드를 카드리더기에 꼽고 PC와 연결해주세요. 2.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에 접속해서 파일을 다운로드받아주세요. 저는 Raspbian Buster with desktop 을 다운로드하였습니다. 3. https://www.balena.io/etcher/ 에 접속해서 BalenaEthcer를 다운로드해주세요. 라즈비안파일을 SD카드에 굽는 용도로 사용되고 무료입니다. 4. BalenaEthcer 를 실행시켜주시고 사진처럼 첫번째에는 다운로드받은 라즈비안파일을..

운영체제/Windows

유니코드

Character Set 의 종류 SBCS (Single Byte Character Set) SBCS는 문자를 표현하는데 1byte 를 사용한다. ( ASCII 가 SBCS 에 해당한다. ) MBCS (Multi Byte Character Set) MBCS 는 문자를 표현하는데 1byte 와 2byte 를 사용한다. (영문자, 숫자를 표현할때는 SBCS 와 같이 1byte를 사용하지만 한글, 특수기호등의 문자를 표현할때에는 2byte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한다. Windows OS에서 MBCS를 채택하고있다. ) WBCS (Wide Byte Character Set) WBCS 는 문자를 표현하는데 2byte 를 사용한다. ( UNICODE 가 WBCS 에 해당한다. ) MBCS 로 문자를 표현하게되면 문..

보안/Reversing

메모리 구조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정보와 코드들이 메모리에 로드되어야하고, 프로그램안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을 저장한 메모리의 공간도 필요하다. 때문에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다양한 메모리영역을 제공한다. 코드(code) 영역 코드 영역에는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로드되었던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CPU는 코드영역에 저장되어있는 명령어를 하나씩 가져가 처리하게된다. 데이터(data) 영역 데이터 영역에는 프로그램내부의 전역변수와 정적변수가 저장되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함께 할당되며 프로그램의 종료와 함께 해제된다. 스택(stack) 영역 스택영역에는 함수의 호출에 사용되는 지역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고, 함수의 호출과 함께 할당된뒤 함수가 끝나게되면 해제된다. 스택영역은 푸시와 팝으로 데이터를 저..